본문 바로가기
알뜰정보

태풍 11호 힌남노 경로, 5~6일 사이 부산 내륙 근접

by ∮ ∑ ∏ ¤ ℉ 2022. 9. 1.
반응형

태풍 11 힌남노 경로, 5~6 사이 부산 내륙 근접

안녕하세요. 오늘은 태풍 11 힌남노 경로, 5~6 사이 부산 내륙 근접 대한 소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제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제11호 태풍 힌남노 예상경로

 

태풍이란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에너지는 지구의 날씨를 변화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지구는 구형으로 되어 있어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에는 열에너지 불균형이 나타납니다.

 

태양의 고도각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축적한 적도부근의 바다에서는 대류구름들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때때로 이러한 대류구름들이 모여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 부릅니다.

 

태풍은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공급받아 강도를 유지하면서 고위도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태풍은 지구 남북 간의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태풍 힌남노, 5~6 사이 부산 내륙 근접

 

기상청은 11 태풍 힌남노가 6일께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 대한해협 사이를 통과할 것이라는 예보를 내놨습니다. 현재 예상경로에 따르면 제주 부산을 비롯한 남해안과 경상해안이 태풍 폭풍반경에 있습니다

  

1 오후 3 11 태풍 힌남노는 초강력 강도로 세력을 유지한 대만 타이베이 남동쪽 550 해상을 지난 것으로 파악됩니다. 힌남노는 일반적으로 북상하는 태풍과는 달리 남서방향으로 역주행하다 갑자기 수직으로 방향을 틀어 북상하는 예상경로를 보이고 있습니다

 

힌남노는 2 새벽까지 위치에 머물다가 방향을 틀어 북상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는 5 오후 3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430 해상까지 북쪽으로 직진하다가 '1 방향'으로 방향을 틀어 6 오후 3 부산 동남동쪽 50 부근 해상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

 

힌남노는 4 오후 3시경 강도 '초강력'에서 '매우강'으로 약해진 부산 동남동쪽 해상에 이르렀을 때인 6 오후 3시경 ''으로 약화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태풍의 강도분류

구분 최대풍속 현상
- 17m/s(61km/h, 34kt) 이상 ~ 25m/s(90km/h, 48kt) 미만 간판 날아감

(normal)
25m/s(90km/h, 48kt) 이상 ~ 33m/s(119km/h, 64kt) 미만 지붕 날아감

(strong)
33m/s(119km/h, 64kt) 이상 ~ 44m/s(158km/h, 85kt) 미만 기차 탈선
매우강
(very strong)
44m/s(158km/h, 85kt) 이상 ~ 54m/s(194km/h, 105kt) 미만 사람, 커다란 날아감
초강력
(super strong)
54m/s(194km/h, 105kt) 이상 건물 붕괴

  

반응형

 

태풍 강도 '' 최대풍속이 '33(시속 119) 이상 44(시속 158) 미만' 경우입니다. 현재 초강력보다는 세기가 약해지는 것이지만 강태풍도 기차를 탈선시킬 정도의 힘은 가진 태풍입니다.

 

서귀포시 남남서쪽 해상에서 부산 동남동쪽 해상까지 힌남노 폭풍반경(풍속이 25 이상인 범위) 170, 강풍반경(풍속이 15 이상인 범위) 400~420㎞로 예상됩니다. 예상대로면 충청 이남으로는 전부 힌남노 강풍반경에 포함됩니다.

 

하지만 힌남노가 타이베이 남동쪽 해상에 정체하면서 강도가 약화할 수도 있습니다. 힌남노의 예상경로에는 아직까지 변수가 많은 상황입니다.

  

현재 예상경로 상에는 6 오후 3 힌남노 위치 '70% 확률반경' 크기가 서울과 부산 직선거리보다 380㎞나 됩니다. 태풍 위치 70% 확률반경은 '태풍의 중심이 위치할 확률이 70% 이상인 ' 말합니다.

 

태풍 힌남로 예상 결로 9월 1일 오후 9시 기준
태풍 힌남로 예상 결로 9월 1일 오후 9시 기준

 

기상청은 힌남노가 직진에 가깝게 북진하다가 살짝 동쪽으로 꺾어 한국과 일본 사이를 지나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이같은 예보는 북서태평양 태풍 명명권을 지닌 일본 기상청(RSMC 도쿄)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예상과도 비슷합니다

 

힌남노가 방향을 틀어 한반도를 향해 북진할 경우 5 오후부터 6, 7일까지 국내에 강풍과 폭우가 예상됩니다. 특히 해안이나 산지 지형 영향이 있는 곳에는 500 강수량을 기록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연평균강수량이 1200~1500㎜인 것을 감안하면 태풍 번에 1 동안 내릴 강수량의 절반 가까이가 하루이틀 사이에 내릴 수도 있습니다. 시간당 강수량도 '50~100' 달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힌남노(Hinnamnor) 라오스에서 제출한 태풍의 이름으로, 라오어로 가시 새싹을 뜻하며 라오스의 국립공원 명칭이기도 합니다

 

※ 기상청 11 힌남노(HINNAMNOR) 경로 확인 링크 https://bit.ly/3eg3leb

 

국민재난안전포털

 

www.safekorea.go.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