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대출 금리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디노자 입니다. 오늘은 전세대출 금리 및 조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보증금이 부족한 상황에서 대출을 고려하게 될 수 있는데요. 하지만 대출을 받기 전에 몇 가지 중요한 내용을 꼭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전세대출에도 여러 종류가 있으므로 그 장단점을 알고 선택해야 합니다.
전세대출 종류
1.은행재원대출: 은행 등의 자금을 활용한 대출로, 대출 한도는 높지만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2.기금재원대출: 정부 자금을 활용한 대출로, 일반적으로 금리가 낮지만 대상이 제한적입니다.
은행재원대출과 기금재원대출 비교
은행재원대출은 카카오뱅크의 전월세보증금대출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이 대출은 보증금 80% 내에서 최대 2억 2,20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은 보증금 90% 내에서 최대 2억 원까지 가능합니다. SGI 전월세보증금 대출의 경우 보증금 80% 내에서 최대 5억 원까지 대출 가능하며, 버팀목전세자금은 보증금의 80% 내에서 최대 1억 2,000만 원까지 최저 연 1.8% 금리로 대출할 수 있습니다.
기금재원대출 상품 소개
1.청년전용버팀목전세자금: 보증금 3억 원 이하 집에 입주하는 만 34세 청년을 위한 상품으로, 대출한도가 2억원 까지 사향애 인기가 좋습니다. 최저 연 1.5%의 낮은 금리가 특징입니다.
for 부부 합산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외벌이 동일)
2.중소기업취업청년전월세보증금대출: 중소기업에 다니는 만 34세 이하 청년을 위한 상품으로, 보증금의 100%까지 대출해 주는 것도 훌륭하고, 단 대출한도는 1억 원까지이며 최저 연 1.2%의 낮은 금리가 적용됩니다.
for 부부 합산 연소득 5,000만 원 이하(외벌이 3,500만 원 이하)
3.신혼부부전용전세자금: 혼인신고한 지 7년이 되지 않았거나 3개월 내에 결혼 예정인 예비 신혼부부를 위한 상품으로, 보증금의 80% 내에서 최대 3억 원(수도권)까지 최저 연 1.2%(2023년 4월 기준) 금리로 대출 가능하며 대출한도가 상대적으로 높고 최저 연 1.2%의 금리로 대출할 수 있습니다.
for 부부 합산 연소득 6,000만 원 이하
기금재원대출 신청 방법
기금재원대출은 KB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NH농협은행, 대구은행, BNK부산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은행들은 기금재원대출 업무를 대행하며 대출을 지원합니다.
대출 자격 미달 시 대안
기금재원대출의 자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자산이나 소득 등 자격 요건을 고려하여 시중 은행의 대출 상품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은행재원대출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대출한도가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전세 대출의 종류와 선택 시 고려해야 할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전세 대출을 선택할 때 개인의 상황과 우선순위에 맞게 적절한 대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니 전체 대출이 필요하신 분들은 잘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알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자녀 혜택 총정리 / 다자녀 혜택 기준 3자녀에서 2자녀로 (0) | 2023.09.02 |
---|---|
저금리 대환 대출 프로그램 신청방법 (저금리로.kr) (0) | 2023.09.02 |
손목닥터 9988 신청방법 및 스마트워치 (0) | 2023.08.29 |
코레일 추석 열차 예매 8월 29~31일 3일간 예매 개시 (0) | 2023.08.27 |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신청자격 및 지급일 (0) | 2023.08.27 |
댓글